로봇 자동화라고 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결국 중요한 건 현장에서 얼마나 잘 쓰이느냐가 중요해 보입니다. 유일로보틱스는 단순히 로봇을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 진짜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자동화를 고민하는 기업으로 보입니다.
▤ 목차
1. 유일로보틱스는 어떤 회사인가?
(1) 회사 개요
- 회사명: (주)유일로보틱스
- 설립일: 2011년 12월 16일 (사명 변경: 2021년 6월)
- 상장시장: 코스닥 (2022년 3월 18일 상장)
- 본사: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서로 362번길 37-45
- 신규 본사/공장: 인천 청라국제도시 (약 8,000평 규모, 준공 임박)
- 주요 사업: 산업용 로봇(직교·협동·다관절), 자동화 시스템(오토피딩·냉각 등),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Link-factory 4.0)
유일로보틱스는 “로봇 + 자동화시스템 +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토털 자동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사출 성형 주변기기(금형온도조절기, 취출로봇 등)로 시작해, 지금은 다양한 산업용 로봇과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연구·개발·판매 중입니다.
(2) 최근 실적 및 주가 동향
- 2022~2023년에 적자를 경험했으나, 2024년에는 흑자 기조로 전환(분기 연속 영업이익 플러스)
-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
- 연간 매출 351억 원 / 영업이익 3.9억 원 기록 → 3년 만의 연간 흑자 전환
- 분기별로도 2~4분기 연속 흑자 기조 유지
- 주가 변동성 확대:
- SK그룹(특히 SK배터리아메리카)와의 협력 기대감
- 로봇 산업 전반의 관심 확대로 최근 급등락
- 전환사채(CB) 전환청구에 따른 물량 출회 가능성도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2. 왜 주목받는가? (핵심 포인트)
(1) 산업용 로봇·자동화 분야 ‘꾸준한 수요 증가’
- 글로벌 산업자동화 시장은 인력난·임금상승·DX(디지털 전환) 등에 따라 지속 성장 전망
- 로봇·FA(Factory Automation)·AI 융합이 본격화하면서 수요가 폭넓어지는 추세
(2) SK 배터리 투자
- 유일로보틱스가 2024년 6월, SK배터리아메리카로부터 약 37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유치
- SK온(또는 SK배터리아메리카)와의 생산공정 자동화 협력 가능성 부각 → 전기차 배터리 라인에 로봇·자동화 솔루션이 도입될 것으로 기대
- SK가 2대주주로 올라서면서 이사회에도 인사가 참여, 전략적 시너지 여부가 시장 관심사
(3) 청라 신공장 준공 임박
- 기존 1·2공장을 통합하는 신공장(8,000평 규모)을 인천 청라국제도시에 건설 중
- 빠르면 “다음 달 말 준공” 예상 (회사 IR 담당자 언급)
- 신공장 캐파: 연매출 2,000억 원 이상도 가능하다는 전망
- 대형 로봇(가반하중 250kg 이상) 양산 체제 구축 → 대기업 수주 확대, 본격 매출 증대 노릴 계획
(4) 로봇 AI 고도화 및 확장 전략
- 최근 협동로봇을 푸드 산업, 제조업 등에 확대 적용
- 다관절 로봇 대형화(250kg+)로 전기차 배터리·조립·포장·물류 등 대기업 타깃 공정 공략
- 스마트 팩토리(디지털 트윈, 공장 관제 시스템) 솔루션 확장 → 로봇과 연동 시너지를 강화
3. 주력 제품과 시장 경쟁력
(1) 산업용 로봇 라인업
- 직교로봇: 사출성형기 자동 취출용으로 시작. 사출 분야에 특화된 노하우 다수.
- 다관절로봇: 회전관절형 로봇(4·6축 등), 자동차·전기·전자·화학·용접 등 다양한 응용
- 협동로봇: 작업자와 공간 공유가 가능해 안전펜스 없이 작업. F&B, 이송·포장·조립·검사 등 폭넓은 적용
(2) 자동화시스템
- 오토피딩(Auto-Feeding) 시스템: 원재료 저장, 건조, 이송, 혼합을 자동화 → 사출 공정 효율 증대
- 냉각시스템: 사출성형 온도제어, 금형 냉각
-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Link-Factory 4.0): SCADA(감시제어), MES(생산관리), WMS(창고관리), AI 빅데이터 분석 및 예지보전 등
(3) 특허 및 기술력
- 유일로보틱스는 다수 특허 보유 (취출로봇, 금형온도조절기, 로봇 기구부, AI 예지보전 등)
- SK 배터리 라인과 연계할 수 있는 대형 다관절로봇, 로봇 액추에이터 내재화(구동부 자체 개발) 등으로 경쟁사 대비 기술 차별화 모색
4. 주가·재무 이슈 한눈에 보기
(1) 최근 주가 상승 & 변동성
- 2023년 말 최저 2만 3천 원대 → 2024년 초 3만 원대 → 최근 최고 5만 2천 원대까지 급상승
- 로봇 산업 테마, SK그룹 AI·로봇 육성 발표 등 외부 이슈로 단기간에 상승 폭 확대
- 거래량 증가: 개인 투자자 중심으로 순매수세 유입, 하루 10만 주→400만 주 수준으로 거래량 폭증
(2) CB(전환사채) 물량
- 작년(2023년) 약 330억 원 규모 1회차 CB 발행 → 전환가액 약 2~2.9만 원대
- 미전환 잔액 약 97억 원 규모, 수익률 50~60% 이상으로 FI(재무투자자) 매도가 나오면 주가 조정 가능성
- 실제로 2023년 중 전환청구 때마다 주가가 급등락을 반복했기에, 투자자들은 CB 물량 출회 시점을 유의해야 함
(3) 재무상태 및 실적 추이
- 2022~2023년: 적자 / 2024년에 들어서 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 연매출 351억 / 영업이익 3.9억 달성
- 대규모 R&D, 신공장 투자, 전환사채 금융비용으로 당기순이익은 낮지만, 영업흑자 기조가 긍정적
- SK 배터리아메리카 유증(370억 원)으로 자본 확충 → 부채비율 개선, 향후 성장을 위한 자금 확보
5. 전망과 관전 포인트
(1) 2024년 이후 성장동력
✅ 대기업(특히 SK 계열) 수주 확대
- 배터리 양산 공정 자동화(다관절 로봇, 협동로봇 등)
- 로봇·컨트롤 시스템·자동화장치 패키지 공급 가능성
✅ 청라 신공장
- 8,000평 규모, 캐파 2,000억 원 이상 기대
- 대형 로봇 생산라인 + 기존 사출 자동화라인 통합 → 생산성·원가 경쟁력 개선
✅ 로봇 AI 고도화, 액추에이터 내재화
- 향후 고성능 로봇 국산화율 제고
- R&D 성과에 따라 추가적 기술우위 가능
✅ 스마트 팩토리, 푸드테크 시장
- 커피·푸드 자동화 로봇 등 협동로봇 수요 증가
- AI·IoT·빅데이터 기반 SCM(공급망관리) 및 생산관리 솔루션
(2) 리스크 및 유의사항
- 주가 변동성: CB 전환청구, FI(재무투자자) 매도 타이밍이 겹치면 급락 우려
- 실적 대비 높은 밸류에이션?: 최근 로봇주 테마로 단기간 급등. 실제 수익성·수주 모멘텀이 뒷받침돼야 주가가 안정화될 것
- 경기 침체 가능성: 제조업 설비투자 위축 시 타격
- 기술력 vs. 글로벌 경쟁: 일본·유럽 로봇 기업과의 기술·가격 경쟁에서 얼마나 성과를 낼지 관건
유일로보틱스는 로봇·FA·스마트팩토리를 아우르는 국내 대표 자동화 솔루션 기업입니다.2024년 연간 흑자 전환(3년 만)으로 ‘본업이 회복 국면’임을 증명했습니다.SK온(SK배터리아메리카) 협력과 청라 신공장 완공을 계기로 대기업 수주 확장, 연간 매출 규모 확대가 기대됩니다.그러나 주가 변동성이 크고, CB 물량 출회 가능성, 로봇 테마의 과열 우려 등 투자 시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유일로보틱스 주가전망 재무분석 확인 👇
2025.02.18 - [주식정보/종목분석] - 유일로보틱스 주가전망 재무분석 & 수익성, 경쟁력 파헤치기
유일로보틱스 주가전망 재무분석 & 수익성, 경쟁력 파헤치기
최첨단 로봇기술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결합해 미래형 제조업 혁신을 이끌고 있는 유일로보틱스가 최근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직교·협동·다관절
nahum27.tistory.com
👉오늘의 증시 & 공시 바로가기
👉오늘의 상한가 바로가기
👉이슈 종목분석 바로가기
👉주식 투자공부 바로가기
'주식정보 >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중공업 심층분석 - 삼성중공업 주가전망 피터린치의 관점은? (0) | 2025.02.26 |
---|---|
유일로보틱스 주가전망 재무분석 & 수익성, 경쟁력 파헤치기 (1) | 2025.02.18 |
"MDS테크: 임베디드 강자에서 AI 혁신 선두주자로, 성장 가능성은?" (1) | 2025.01.08 |
큐에스아이(066310), 양자컴퓨터 핵심 부품 개발! 미래를 선점할 기술주? (21) | 2025.01.02 |
"임상시험과 CDMO 사업 확장 중! 이엔셀(456070) 투자 분석" (6) | 2024.12.27 |